사용자 삽입 이미지
912, 에티오피아가 드디어 새천년을 맞이했다. 매년 9 11일은 에티오피아의 설날이다. 그러나 우리에게 4년에 한번씩 2 29일이 찾아오듯이 4년에 한번씩 에티오피아의 설날은 9 12일이 된다. 미디어에서 에티오피아의 밀레니엄을 9 11, 혹은 9 12일 들쭉날쭉 소개하고 있는데 이런 혼란에서 기인하는 것 같다. 올해는 9 12일이 설날이라서 본격적인 새천년 맞이 행사는 오늘부터 시작된다.

 

에티오피아는 국민 절반이 에티오피아 정교회를 믿고 있다. 정교회 신자들은 수요일과 금요일에 금식을 하는데, 이 날 생선은 먹어도 육류는 절대 안 먹는다. 여행 중 정교회 신자들이 운영하는 식당에 가면 육류가 들어간 음식을 주문할 수 없는 이유다. 대개 설날에는 양을 잡아 가족과 친지들이 모여 잔치를 벌인다. 그러나 올해는 그만 설날이 수요일인 바람에 정교회 신자들은 양을 잡을 수가 없게 되어 천 년에 한번 맞이하는 설날이 참 쓸쓸하게 되었다.

 

한편, 에티오피아의 국민 절반은 이슬람교 신자들이다. 무슬림들에게 아주 큰 행사인 라마단은 보통 설날이 한참 지난 후 찾아오는 데 올해는 공교롭게 9 13일 목요일부터 시작된다. 물론 무슬림들은 수요일과 금요일에 금식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라마단이 시작되면 금식을 해야 하기 때문에 그 전날에는 대부분 양을 잡는다. 올해는 정교회 신자들이 양을 잡고 싶어도 잡지 못하는 수요일, 즉 밀레니엄이 시작되는 날 에티오피아의 무슬림들은 양을 잡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밀레니엄 특수를 노리고 있는 에티오피아 정부 차원에서 이런 복잡한 상황을 정리하기 위해서인지 멜레스 제나위 에티오피아 총리는 이례적으로 이번 주 수요일, 목요일, 그리고 금요일을 모두 공휴일로 선포했다. BBC에서는 밀레니엄을 맞이하는 현지 분위기가 썰렁하다고 보도했는데 주에티오피아 한국대사관 관계자에 따르면 늘 맞이하는 설날과는 분위기가 확실히 다르다고 전했다. 외국인 입장에서는 수요일에는 무슬림 친구 집을, 목요일에는 에티오피아 정교회 신자 친구 집을 찾아가면 양고기 포식을 할 수 있겠다.

 

일본에서는 9 9일 일요일에 자이카 글로벌 프라자에서 에티오피아 밀레니엄 기념 행사를 가졌다. 에티오피아인은 물론 에티오피아 연구자들, 30년 전에 자이카(일본국제협력기구) 자원봉사자로 에티오피아에 파견된 사람들까지 에티오피아와 조금이라도 인연이 있는 사람들은 전부 모인 것 같았다. 주일에티오피아대사인 Abdirashid Dulane도 에티오피아 전통 의상으로 성장을 하고 이 행사에 참여했다. 그는 에티오피아의 매력에 대해 30분 정도 직접 프리젠테이션도 하고 행사 마지막에는 참가자들과 함께 전통 춤을 추기도 했다.

 

행사를 기념하기 위해 에티오피아에서 장미 수 천송이가 공수되어 왔다. 에티오피아의 장미는 일반 장미보다 줄기가 튼튼하고, 꽃송이의 볼륨이 컸으며, 색깔이 무척이나 화려했다. 에티오피아 하면 커피가 유명하지만 꽃과 가죽제품도 주요 수출품목에 포함되어 있다. 행사가 끝난 후 돌아가는 사람들 손에는 저마다 부담스럽게 꽃송이가 큰 에티오피아산 장미다발이 들려있었다. 에티오피아산 레드 와인인 구다르(GOUDER)와 악수마이트(AXUMIT)도 자리를 빛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에티오피아를 구성하는 80여개의 소수민족 중 구라게 그룹이 있다. 가장 부지런한 민족으로 알려졌는데 에티오피아의 상권 대부분을 이 사람들이 장악하고 있다. 이 그룹의 전통 춤 스탭이 일본 토쿠시마(德島)의 전통 춤인 아와오도리(阿波踊)와 많이 닮았다. 행사 마지막 부분에는 토쿠시마의 아와오도리 팀이 참가해 일본 사람들은 구라게 그룹의 춤을 배우고, 에티오피아 사람들은 토쿠시마의 아와오도리를 배우는 시간이 있었다. 피부색도 다르고 말도 다른 사람들이 함께 어울려 춤을 추면서 이날의 분위기는 최고조에 이르렀다.

 

과거 일본이 이탈리아와 손 잡으면서 에티오피아와의 관계가 불편하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이제 일본은 아프리카의 그 어떤 나라보다도 에티오피아와 가까운 나라로 보인다. 현재 AU(African Union, 아프리카 연합)는 에티오피아의 수도 아디스 아바바에 본부를 두고 있다. 아프리카 53개 나라의 표 관리를 잘 하려면 에티오피아라는 나라를 홀대해서는 안되겠다는 생각이 든다.

서울신문 2007.9.12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70912500006&spage=1

Posted by 윤오순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음 주에 에티오피아에 가는 분들은 반드시 호텔을 예약하고 가야 할 듯. 특히 오는 9월 11일을 아디스 아바바에서 묵을 분들은 노숙을 해야 할 지도 모르겠다. 아디스 아바바에서 고급호텔로 분류되는 쉐라톤, 힐튼, 기욘 호텔을 비롯해 웬만한 호텔들은 이미 방이 다 찼다고 한다.

태양이 13개월이나 뜨는 에티오피아가 금세기의 마지막 밀레니엄 행사 준비로 아주 분주하다. 보편적인 서역 Gregorian의 역법을 사용하지 않고 Julian Solar Calendar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에티오피아 달력은 우리보다 약 7년이 늦다. 한달을 30일씩 계산하고 남은 5일 혹은 6일을 또 한달로 계산하기 때문에 에티오피아에서는 태양이 12개월이 아닌 13개월 뜬다. 이런 독특한 캘린더 시스템 덕분에 전 세계가 7년 전에 성대하게 치른 밀레니엄 행사를 에티오피아는 다음 주에 본국 에티오피아를 비롯해 대사관이 설치된 각국에서 치르게 된다.

전 세계를 충격으로 몰아 넣은 9.11 테러를 기억하는가. 매년 이날이 되면 미국 본토는 에티오피아에서 건너 온 약 10만인의 에티오피아인을 제외하고 묵념 모드이다. 그러나 에티오피아 사람들에게 매년 9월 11일은 축하 모드이다. 왜냐하면 바로 이날이 에티오피아인들의 설날이기 때문이다. 이 날을 기점으로 학원은 개강을 하고 운동을 쉬었던 사람들은 운동을 재개하기도 한다. 담배를 끊는 사람들도 있다. 9월도 중순으로 향하는 시점에 뭔가를 새로 시작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많이 낯설었던 기억이 난다.

에티오피아 밀레니엄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상단에 기념 로고가 보인다. 유명한 디자이너가 만들었다는데 에티오피아 사람들은 로고를 설명해 주면서 몹시 부끄러워했다. 맨 위의 하얀 글씨는 암하릭어로 에티오피아 밀레니엄. 그 다음 파란 글씨는 기즈어(Geez, 암하릭어의 모체가 되는 언어로 에티오피아 정교회 신자들은 신의 언어라고 하며 지금도 교회내에서 사용되고 있다.) 숫자로 2000을 의미한다. 가운데 꼭 콩처럼 보이는 것은 커피, 자궁, 방패를 상징한다. 에티오피아는 커피의 발상지이며, 인류의 발상지로 알려졌는데 콩 모양은 그것을 의미한다. 방패는 그 어떤 강대국의 식민지도 용납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아프리카의 오랜 독립국으로서 에티오피아의 자존심을 드러내고 있다. 콩 모양을 둘러싸고 있는 팬 아프리카 컬러의 리본은 80여개의 다민족으로 구성된 에티오피아의 번영과 화합을 의미한다.

지난달 25일 오사카 세계육상선수권 여자 5,000m에서 우승한 메세레트 데파르가 테이프를 끊고 카메라를 향해 들고 있던 판넬이 바로 이 로고였다. 그녀는 아주 작은 목소리로 “에티오피아 밀레니엄!!”이렇게 외쳤다.

2007년 9월 12일부터 2008년 9월 11일까지 1년간 에티오피아의 밀레니엄을 기념하는 이벤트가 전 세계에서 열린다. 한국은 대사관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특별한 이벤트가 기획되지 않았지만 옆 나라 일본은 시민단체와 주일본에티오피아대사관이 중심이 되어 대대적인 행사가 열릴 예정이다. 도쿄에서는 9월 9일 일요일 오전 10시부터 강연회를 비롯해 다채로운 밀레니엄 이벤트가 개최된다. 장소는 JICA地球廣場(자이카 글로벌 프라자, 도쿄 広尾駅(히로오역)에서 도보로 1분).

에티오피아 밀레니엄 공식 홈페이지(http://www.ethiopia2000.com/index.php?option=com_frontpage&Itemid=1)에 들어가면 밀레니엄까지 얼마나 남았는지 카운트다운이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9월 12일부터 1년간 진행되는 이벤트 캘린더도 볼 수 있다.

밀레니엄 포스터 사진 출처:http://www.africa-ata.org

서울신문 2007.9.5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70905500004&spage=1

Posted by 윤오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회주의 시절에도 사용했던 에티오피아의 3색 국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현재 에티오피아의 국기



팬 아프리카 컬러라고 하면 좀 생소할 지 모르겠다. 공식 용어는 아니지만 아프리카가 등장할 때 자주 눈에 띄는 초록, 노랑, 빨강색을 의미한다. 에티오피아가 아프리카에서 원조임을 자랑하는 게 여럿인데 팬 아프리카 컬러도 그 중 하나다.

 

에티오피아가 팬 아프리카 컬러를 사용한 건 아주 오래 전부터다. 에티오피아를 방문한 탐험가들이 남긴 자료에 따르면 군대의 깃발에도 현재 국기와 모양은 다른 3색기가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ETHIOPIA ENGRAVED-Historic Photographs of the Country and It’s People taken Between 1867 and 1935, Richard Pankhurst & Denis Gérard)

 

본래 이 3색은 성경의 노아의 홍수편에서 하느님이 노아 가족을 축복하는 말 중에 나오는 무지개를 상징하는 것으로 초록은 ()’, 노랑은 종교의 자유, 빨강은 용기와 희생을 의미한다.

 

에티오피아는 1935 10월부터 19415월까지 이탈리아에 점령당한 것 이외에는 여타의 아프리카 국가들처럼 강대국의 식민지 경험이 전혀 없는 나라이다. 이런 이유로 밖에서는 에티오피아가 약 5년 간의 이탈리아 식민지 경험이 있다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정작 에티오피아 내에서는 그 기간 동안 에티오피아는 이탈리아와 전쟁 중이었지 국권을 이양한 식민지 상태가 절대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어쨌거나 에티오피아는 아프리카 대륙에서는 가장 오랫동안 독립을 유지한 나라이다. 그 때문에 2차 대전이 끝나고 강대국으로부터 독립한 아프리카 국가들은 오랜 독립국이 사용했던 이 3색을 자국의 국기에 채택했고, 이후 초록, 노랑, 빨강은 아프리카의 색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가나는 가로형태의 팬 아프리카 컬러에 검은 별을 얹어 사용한다. ‘기니말리는 순서는 다르지만 수직의 팬 아프리카 컬러를 사용한다. 베냉, 세네갈, 카메룬, 토고, 콩고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 자국의 국기에 팬 아프리카 컬러를 사용한다. 아프리카에서는 유일하게 황제의 나라였던 에티오피아가 아프리카의 큰 형님으로 자부심을 가질만하지 않은가.

 

검은 피부에 팬 아프리카 컬러가 더해지면 이보다 더 화려해질 수가 없어진다. 2006년 월드컵에서 한국과 토고와의 경기를 기억하는가. 관중석에 응원하는 사람수는 적었지만 그 자리가 얼마나 화려했는지를.

  

현재 에티오피아에서 사용하는 국기에는 위에서부터 같은 폭의 초록, 노랑, 빨강의 가로선이 있고, 그 가로선 중앙에 푸른색의 원반이 있다. 그리고 그 원반의 중심에 칸이 빈 노란 별이 있고 별 주변으로 노란 광선이 발산하는 형태를 띠고 있다. 이 별을 솔로몬의 별이라고 한다. 전설에 따르면 솔로몬 왕과 시바 여왕 사이에 태어난 메넬릭 1세를 에티오피아의 초대 황제로 보고 있는데 이 때문인지 귀하고 중요한 것에 솔로몬이 자주 등장한다. 물론 사람의 이름에도 많이 사용된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1996년에 3색만으로 사용하던 기존의 국기에 노란 별과 노란 광선이 있는 푸른 원반을 추가해 새로 제정했다. 국기 중심에 있는 원반의 푸른색은 평화, 별 모양은 국민의 통합과 발전, 광선은 국민과 종교의 평등을 의미한다고 한다. (서울신문 인터넷판, 게재날짜 기억안남)

 

Posted by 윤오순

성과 이름을 동시에 적는 방법이 동양과 서양으로 크게 나누었을 때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한국이나 중국, 일본의 경우 성을 먼저 적고 나중에 이름을 적는 게 일반적이다. 서양의 경우 중간 이름(middle name)을 가지는 사람들이 있긴 하지만 대부분 이름을 먼저 적고 나중에 성을 적는다. 그래서 성이 어떻게 되느냐고 물을 때 ‘Family name’이 어떻게 되느냐고도 묻지만 ‘Last name’이 어떻게 되느냐고 묻기도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hoto by Adriano Carbone


그러나 에티오피아인의 이름에는 성이 따로 없다. 에티오피아인은 성 없이『이름-아버지 이름-할아버지 이름』을 나란히 적어 이름으로 사용한다. 『이름-성』혹은『성-이름』 이런 식으로 이름을 적지 않기 때문에 이들에게는 ‘Family name’이나 ‘Last name’이 아무 의미가 없다. Teferi Taddesse Heigyane라는 사람의 경우 Teferi가 이 사람의 이름이고 Taddesse는 이 사람의 아버지 이름, Heigyane는 이 사람의 할아버지 이름이다. 그래서, 에티오피아인의 이름을 부를 때는 중간의 아버지 이름도 아니고, 마지막의 할아버지 이름도 아닌, 가장 먼저 적힌 본인의 이름을 불러줘야 한다.

 

에티오피아인의 이름이 자국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외국에서 종종 문제가 될 경우가 있다. 『이름-성』혹은『성-이름』의 방식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Teferi Taddesse로 공문서 같은 데 이름을 적을 수가 있다. 그럴 경우 에티오피아인의 이름에 대한 상식이 없으면 Mr.Teferi가 아닌 Mr.Taddesse로 부를 수가 있다. 에티오피아 출신의 유명한 장거리 육상선수인 Elfenesh Alem 선수의 경우 외국 언론에서는 Alem선수로 많이 불리고 있다. 올림픽 같은 시합에서 이름을 등록할 때 성을 Alem으로 등록한 데서 기인할 것이다. 만일 에티오피아내에서 Alem선수를 부르고 싶을 때 ‘Alem!!’하고 부르면 그녀가 대답하지 않고 그녀의 아버지가 대답할 가능성이 아주 높다. 한편,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 맨발로 역주해 금메달을 땄던 Abebe Bikira의 경우 그때나 지금이나 Abebe로 불린다. 이름을 등록할 때 Abebe로 했기 때문이다.

 

한 NGO단체에서 편지 번역 자원봉사를 한 적이 있었는데 그때 내가 받았던 편지들이 에티오피아에서 온 것들이다. 당시 카사예 부르투케(KASAYE, Burtuke)라는 이름이 보이면 나는 관례대로 카사예라는 성의 부르투케라는 아이라고 생각했다. 애초 BURTUKE KASAYE로 온 이름을 친절하게 KASAYE를 성으로 생각해 대문자로 표기하고 Burtuke는 이름으로 생각하고 순서까지 바꿔주는 친절함을 보였다. 사실 편지 온 그대로 사용하면 부르투케가 아이 이름이 맞긴 맞다. 그러나 저렇게 대문자와 소문자로 나누어 표기를 해버리면 누구나 이 아이는 카사예라는 성을 쓰는 부르투케라고 오해할 수가 있는 것이다. 지나간 일이라 되돌릴 수 없지만 심하게 부끄럽다.

 

우리도 그렇지만 구미의 경우에도 이라는 것은 가족이나 친족의 공통된 이름이다. 그래서 같은 성을 가진 사람들을 패밀리라는 이름으로 결집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에티오피아에서 아버지의 이름은 어디까지나 아버지의 이름일 뿐이다. 이 때문에 여자의 경우 결혼을 해도 이름을 바꿀 필요가 없다. 시집을 가서 사는 집이 바뀌었다고 아버지가 바뀌는 건 아니라는 이유다. 아주 간단한 논리다.

 

왜 이들이『이름-아버지 이름-할아버지 이름』으로 이름을 적을까 고민하다 이들에게도 유목민족의 피가 흐르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이르렀다. 떠돌아다니는 유목민족의 경우 이름을 이렇게 적는 경우를 보았는데 대표적인 나라가 몽고이다. 에티오피아의 근대화에 공이 컸던 메넬릭 2세가 1880년대에 수도를 지금의 아디스아바바로 정하기 이전에 에티오피아에서 수도의 의미란 이동하는 텐트의 집단을 의미했다고 한다. 에티오피아 사람들이 유목 생활을 했다는 증거다. 그러나 생장이 빠른 유칼립투스가 도입되어 연료확보가 가능해진 이후 더 이상 다른 땅을 찾아 이동할 필요가 없어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고 한다.

 

참고로 에티오피아에서 남자 이름을 부를 때는 Mr.(미스터)가 아닌 Ato(아토)를 사용한다. Miss워이저릿’, Mrs.워이저로를 사용한다. Teferi Taddesse Heigyane라는 이름을 가진 남자의 명함을 받으면 편하게 Ato Teferi!하고 불러주면 된다. (서울신문 인터넷판, 게재날짜 기억안남)

Posted by 윤오순